이주민 증가에 따른 이민자에 대한 인식 변화 : 경제적 불평등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2021.06)

  • 저자 : 강우창, 서준우
  • 학술지명 : 한국정치학회보
  • 발행처 : 한국정치학회
  • 권호 : 55(2)
  • 게재년월 : 2021년 06월

초록 : 이민자와 외국인 수의 증가, 다문화 사회 진입에 대비하는 제도개선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지지는 감소하고,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는 강화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갈등이론과 접촉이론을 경쟁가설로 놓고, 이민자의 증가가 집단 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지 혹은 개선시키는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접촉이 이뤄지는 환경에 따라 이주민 수의 증가는 집단 간의 갈등을 개선시킬 수도 있고,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과의 접촉이 이민자와 외국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지역의 경제적 불평등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주목한다.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부동산 실거래가 자료를 근거로 하여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부동산 불평등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서울서베이 설문조사와 결합한 후 선형복합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구의 외국인 수가 늘어날 때, 서울 시민들은 외국인에 대해서 더 우호적인 태도를 갖는다. 둘째, 자치구의 불평등 수준이 높을 때, 서울 시민들은 외국인에 대해서 배타적인 태도를 갖는다. 셋째, 외국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는 거주 자치구의 불평등 수준이 높을수록 약화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이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immigration level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amidst worsening individual attitudes toward immigrants. Does this mean that the increase in immigration levels leads to a negative public attitude toward immigrants? Intergroup Contact Theory supposes that a larger migrant population leads to positive attitudes: frequent contact alleviates intergroup prejudice and improves relation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can be both ‘good contact’ or ‘bad contact’ depending on local context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equality. This paper reviews the effect of local economic inequality and local immigrant stock on public attitudes by matching the Seoul Survey dataset(2010-2017) with originally generated local economic inequality levels. With a multi-level time-series data of twenty-five local level districts, six-year spans, and 274,514 individual observations, we find that local districts with larger immigrant populations and lower inequality levels are more likely to exhibit positive attitudes, a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immigrant population on public attitudes diminishes as the inequality level increa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teriorating net level of public attitudes toward immigrants is attributable to economic inequality rather than the size of the immigrant population.

 

원문링크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 1987-2020: 무엇이 변했고 무엇이 변하지 않았는가? (2021.06)

초록 :

이 논문의 목적은 민주화 이후 한 세대에 걸쳐 나타난 정당 간 경쟁의 문제를 정당 및 정당 체제 수준에서 이루어진 공급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 데 있다. 분석의 소재로 선택한 것은 선거강령이다. 이를 통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로, 거시적/미시적 차원의 좌-우(진보-보수) 척도와 이슈 차원을 통해 본 정당 간 경쟁의 양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나름의 규칙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한반도 평화와 사회복지 이슈를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계열을 한 축으로 하고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계열을 또 다른 축으로 하는 경쟁 구도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햇볕정책’을 통한 한반도 긴장완화와 ‘부자증세’ 및 ‘보편적 복지’의 의제화에 있어서 정당은 이들 이슈가 경쟁의 주요 차원으로 부각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정당의 역할은 공급 측면(내생적 역할)의 타당성을 입증해준다. 셋째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당 간 경쟁의 전반적인 양상은 본격적인 서구적 의미의 좌-우 경쟁으로까지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주요 정당의 경제정책에서의 신자유주의적 기조나 요인분석에서 드러나듯이, 경제적 이슈가 정당 간 경쟁의 독자적 차원으로 부상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이슈를 일관되게 추동할 수 있는 정당의 현실적인 힘 또한 아직 미약한 데 그 원인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party competition that have emerged over a generation since democratization on focusing supply-side at the level of political parties and party systems. It is the electoral programmes that has been chosen as the material of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firmed several facts through analysis of this. Firstly, the pattern of competition between parties through the macro-level left-right (progressive-conservative) scale and the micro-level issue dimension shows its regularity over time. It appears to be a competitive structure over Korean Peninsula Peace and social welfare issues, with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nd the Justice Party as one axis and the People Power Party and People’s Party another. Secondly, political parties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eas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unshine Policy” and on the agenda of issues such as “a tax increase on the rich” and ‘universal welfare’.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in this process proves the validity of the supply–side(endogenous role). Thirdly, nevertheless, the overall aspect of party competition does not go as far as full-fledged left-right competition in the Western sense. This is due not only to the lack of economic issues emerging as an independent dimension of party competition, but also to the lack of the party’s realistic power to drive such issues consistently, as shown by neoliberal stance of major parties’ economic policies or factor analysis.

원문링크

롤즈 정의관의 이론적 전개과정과 연속성- ‘칸트적’ 구성에서 ‘정치적’ 구성으로 – (2021.06)

초록 :

이 논문의 목적은 롤즈의 정치철학 내에 존재하는 내적 긴장이 구성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해소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전까지 많은 비판가들은 롤즈의 정의론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발상들, 즉 내용들에 주목한 반면 방법론적 형식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이는 『정의론』과 이후 저술들 사이에 긴장과 모순이 존재한다는 ‘오해’로 이어졌다. 하지만 정치적 정당화라는 목적에 주목할 때, 롤즈의 정의관은 ‘칸트적 구성주의’에서 ‘정치적 구성주의’로 점차 강조점이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일관된 체계로 종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의에 대한 정치적 관점은 이전 입장과의 근본적인 단절이 아닌 연속된 발전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롤즈의 정치적 구성주의는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정치권력의 행사가 정당화될 수 있는 유력한 방법을 우리에게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이론적․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in this essay is to clarify that Rawls’s political philosophy has consistently developed with the constructive method as a key link. Until now, many critics have focused on various ideas, or contents, found in Rawls’s theory of justice, while their interest in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s relatively low. This led to a misunderstanding that tension and contradiction exist between A Theory of Justice and Rawls’s later writings. However, when we attention to the purpose of political justification, Rawls’ views of justice are able to be integrated into a coherent system, even though his emphasis has gradually shifted from Kantian constructivism to political one. Rawls’s political constructivism has a great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in that it presents us with a powerful way to justify political power in a modern pluralistic society.

 

원문링크

중국의 협력적 대륙전략과 팽창적 해양전략: 니콜라스 스파이크먼의 지정학 이론을 중심으로 (2021.06)

초록 :

중국의 부상은 아시아 지역의 안보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 성장을 토대로 한 중국의 증대된 힘은 아시아의 인접 국가들에게 안보적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주변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행태는 협력과 공세가 혼재한다. 즉 육지에서 인접 국가들과는 협력적 자세로 영토 문제에 합의함으로써 안정적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경제협력과 다자주의를 추구하고 있다. 반면, 바다에서는 인근 해역을 영해화하려는 적극적인 전략을 추구하면서 주변 국가들의 이익을 침해하면서 분쟁과 갈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본 논문은 대륙과 해양이라는 두 개의 지리적 공간에서 부상하는 중국이 구사하는 전략적 행태의 차이에 주목한다. 왜 이러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일찍이 중국의 부상과 아시아 지역 헤게모니 추구 가능성을 예견했던 니콜라스 스파이크먼의 지정학 이론을 통해 중국의 부상과 영향력 확대가 대륙와 해양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한다.

 

Rising China is incurring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security environment in Asia. China’s increased power is supposed to raise security threat to neighboring states which are sharing borders with China. However, China’s attitudes toward adjacent countries appear to be different. On land, it has been willing to negotiate and compromise with neighbors on the critical issues such as territorial disputes. On sea, however, China has never hesitated to enforce its assertiveness by declaring its dominion over 80% of area in the East China Sea, which generates conflicts among stake holders. This article analyzes China’s asymmetric approaches on land and on sea with Nicholas J. Spykman’s geopolitical framework, who prophesied that China’s pursuit of regional hegemony would endanger Asia’s peace and stability.

 

원문링크

인도네시아 2020: 전염병이 위협하는 민주주의와 경제 (2021.05)

미·중 패권경쟁시대 인태 지역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도전과 전망 (2021.04)

  • 저자 : 이신화, 박재적
  • 학술지명 : 국제지역연구
  • 발행처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권호 : 25(2)
  • 게재년월 : 2021년 04월

초록 : 국제질서의 주도권을 둘러싼 미·중의 전략적 경합이 전방위에서 진행 중이다. 양 강대국 모두 국제사회의 공동선(善)을 추구하는 다자협력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진영경쟁에 매진하고 있다.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LIO)를 회복하려는 바이든 대통령의 다자주의 전략은 민주주의 국가들과의 반중 연대를 지향하고 있어 다자주의 민주동맹에 참가하지 않는 국가 들에게는 배타적이다. 중국은 대규모 재정적·인적 자원을 동원하여 다자기구에서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해왔으나, 국제법과 규범을 무시하는 중국식 다자주의에 대한 비판이 크다.

역내 (소)다자 협력도 미·중 대립이 가장 첨예한 인도·태평양(인태) 지역 LIO를 지탱하는 하나의 축으로 기능하기보다는 양 강대국의 지정학적 경합이 충돌하는 기제로 변질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중 전략경쟁을 완화하기 위한 중견국 역할론이 주목받고 있다. 양 강대국이 주도하는 네트워크가 갈등적 경쟁상태일 때, 중견국 연합체의 행위에 따라 경합하는 안보 네트워크들의 관계가 더 분쟁적이 되거나, 더 협력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중국의 부상, 미국 패권의 상대적 쇠락 및 미·중 전략경쟁으로 도전받고 있는 LIO의 향배는 미국이 중국과의 패권경쟁 상황에서 글로벌 공공재를 계속해서 제공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지와 더불어, 역내 중견국이 주축이 되는 국제사회가 LIO를 위해 얼마나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크게 영향받게 될 것이다. 본고는 강대국에 대한 레버리지 확대를 위한 (소)다자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신제도주의적 관점을 취하지만, 강대국 정치라는 구조에서 각국이 국익확보의 일환으로 (소)다자협력과 중견국 역할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신현실주의적 시각을 포함한다.

원문링크

Candidate sex, partisanship and electoral context in Australia (2021.04)

  • 저자 : Woo Chang Kang, Jill SheppardFeodor SnagovskyNicholas Biddle
  • 학술지명 : ELECTORAL STUDIES
  • 발행처 : Science Direct
  • 권호 : 70
  • 게재년월 : 2021년 04월
  • 초록 : Research on the effect of candidate sex on vote choice has tended to find that, even when voters state preferences for candidates of their own sex, party identification tends to win out on election day. However, not all elections present a clear partisan choice for voters: primary elections in the United States, intra-party candidate selection in Australia, and municipal elections in a range of jurisdictions either pit intra-party candidates against each other or provide only weak partisan cues. In this paper, we use a conjoint experiment to directly compare the effects of candidate sex and partisan affiliation on voters’ preferences: in one context where partisan affiliation is constant (e.g. a primary contest) and a second where partisan affiliation varies (e.g. a general election). From a probability-based sample of Australian voters, we find left-identifying female respondents tend to prefer female candidates regardless of the candidate’s partisan affiliation and electoral context. By contrast, right-identifying male voters prefer male over female candidates in intra-party contests between right-affiliated candidates, suggesting that conservative men are the least supportive of female candidates. As conservative men dominate Australia’s current governing parties, we argue the preferences of this demographic inhibits the advancement of female politicians.

    원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