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lı maçlara bahis yapmak isteyenler Bettilt sayfasını açıyor.

Türkiye’de bahis dünyasında güven arayanlar için Bahsegel giriş ilk tercih oluyor.

Online bahis deneyimini kolaylaştırmak için sürekli gelişen Bahsegel kullanıcı dostudur.

Tenis turnuvalarına bahis oynamak isteyenler bahsegel giriş bağlantısına tıklıyor.

Engellemelere rağmen erişim sağlamak için bettilt kullanılıyor.

Türkiye’deki oyuncular, lisanslı yapısı nedeniyle bettilt giriş sistemine güveniyor.

Bahis dünyasında hız ve güveni bir araya getiren Paribahis farkını ortaya koyuyor.

1. 센터 소개

EU 연구센터(Center for the Study of European Union)는 EU 연구에 관한 생산적인 연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특정 국가에 관한 연구 및 지역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유럽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축적하고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EU 연구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지원합니다.

주요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EU의 정치, 안보, 경제 사회 법 등에 관한 조사 및 연구

2. EU의 현안 이슈에 관한 연구

3. 유럽의 정치사상 연구

2. 구성원

센터장 : 김남국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전임연구원

  • 최치원 (고려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선임연구원

  • 백미연 (고려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선임연구원)
  • 이주연 (고려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선임연구원)

3. 프로젝트

  • 수행한 프로젝트

    • 2012.06-2014.06 : 장 모네 프로그램
    • 2011.09-2014.08 :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Social Science Korea, SSK) 사업(소형: “다문화의 도전과 지속가능한 민주주의”)

4. 학술활동

  • 2014.06.26(목) : Jean Monnet Lecture(“Acts of Citizenship against Neoliberalism: The New Cycle of Migration Struggle in Italy” / Federico Oliveri, Professor of University pf Pisa)
  • 2014.04.07(월) : Jean Monnet Lecture(“The Global Transformation: Rethinking IR in the perspective of the 19th Century Revolutions of Modernity” / Barry Buzan, Emeritus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 2013.11.22(금): Jean Monnet Lecture(“유럽연합과 유로화” / 안상욱, 부경대 교수)
  • 2013.11.12(금): Jean Monnet Lecture(“지역통합과 정당성 문제” / 박선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EU센터 연구위원)
  • 2013.04.25(목): Jean Monnet Lecture(“Rethinking EU’s Language Policy” / Maria Stoicheva, Professor of Sofia University)
  • 2013.04.25(목): Jean Monnet Lecture(“The EU’s Crisis as Opportunity” / Frank Delmartino, Professor of Leuven University)
  • 2012.10.12(금): Jean Monnet Lecture(“The Labor Movement and Labor Policies in the EU after the Financial Crisis” / György Széll, Professor of University of Osnabrück)
  • 2012.9.14(금): Jean Monnet Lecture(“유럽재정위기의 원인과 전개” / 박복영, KIEP 국제경제실장)
  • 2012.06.18(월): Jean Monnet Lecture(“아시아통합의 꿈과 현실: 유럽과의 비교” / 박제훈, 인천대 교수)
  • 2012.06.07(목): Jean Monnet Lecture(“글로벌 시대 인권: 한국, UNESCO, 유럽” / 장재복, 외교통상부 의전기획관)

5. 주요 연구성과

논문

  • 김남국. 2020. “Human security: A Potential for Cooperation in the EU and East Asia.”  『통합유럽연구』 11(2), 143-178. (Sebastian Harnisch 공저)
  • 김남국. 2019. “Popularizing Grief: Tragedies and Tragic Events in Ancient Athens.” 『정치사상연구 』 25(2), 9-38. (안성준 공저)
  • 김남국. 2019. “리처드 로티의 자유주의와 대담한 시인으로서 시민.” 『평화연구』27(2), 85-115.  (조대근 공저)
  • 김남국. 2019. “Divergent Paths of Integration in the Post-Multicultural Era: Interculturalism in Spain and Civic Integration in France.” 『EU연구』53, 3-48. (이영현 공저)
  • 김남국. 2019. “유럽의회 선거 이후 유럽연합의 대외정책 전망.” 『국제지역연구』28(3), 31-59.
  • 최치원. 2019. “막스 베버의 정치사상에 나타나는 전통과 혁신.” 『한독사회과학논총』 29(4), 177-224.
  • 최치원. 2019. “‘정신의 삶’에 나타난 아렌트(Hannah Arendt)의 미스터리한 ‘사유’ 개념 비판: 아렌트의 이론은 왜 진정한 정치이론이 될 수 없는가?” 『정치사상연구』25(1), 205-241.
  • 김남국. 2018. “Asia of Citizens beyond Asia of States: Regional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30(1), 97-114.
  • 김남국. 2018.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36(1), 49-92.
  • 김남국. 2017. “다문화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 『국제지역연구』 26(4), 89-124.
  • 김남국. 2017. “폴란드-러시아의 역사적 갈등지속요인 고찰.” 『EU연구』 45, 169-199. (김유정 공저)
  • 백미연. 2017. “동북아 연대와 협력의 패러다임 구성.” 『동북아역사논총』 56, 324-364.
  • 오향미. 2017. “기본권의 조건으로서의 주권: 바이마르헌법의 기본권과 권력 규정 관계 논쟁.” 『의정논총』 12(2), 243-275.
  • 최치원. 2017.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해석학적 인문주의의 맥락에 비추어본 실천지향적 정치학의 가능성 탐구.” 『한독사회과학논총』 27(2), 87-120.
  • 최치원. 2017. “막스 베버(Max Weber)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兪吉)의 유교해석 비교연구.” 『정치사상연구』 23(2), 7-34.
  • 최치원. 2017. “’지금’과 ‘여기’라는 거시적 맥락에서 성찰해 본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하나의 시론적 연구.” 『문화와 정치』 4(1), 97-127.

단행본

  • 김남국. 2019. 『문화와 민주주의』. 서울: 이학사.
  • 김남국 외. 2019. 『유럽의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 : 동아시아 평화 공동체 수립에 대한 함의』. 서울: 이학사.
  • Nam-Kook Kim ed. 2014.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Sustainable Democracy in Europe and East Asia. New York: Palgrave Macmillan.
  • Nam-Kook Kim. 2014.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Redefining Identity in East Asia. Burlington: Ashgate Publishing Lim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