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활동
공지사항
-
[수당 안보 콜로키움 #35] 권위주의 국가에서 쿠데타 방지 전략의 유형과 군사효과성
- 발표 : 여영윤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주제 : 권위주의 국가에서 쿠데타 방지 전략의 유형과 군사효과성
- 토론 : 문은석 (육군3사관학교)
- 일시 : 2023년 12월 1일(금)ㅣ17:00~18:30
- Zoom 링크 : https://tinyurl.com/dksqh2309
- 회의 ID : 937 662 2082 (암호 : Peace1905!)
- 참석 방법 : 별도의 사전 신청없이 위의 링크를 통해 참석이 가능합니다. 단, 발표논문을 미리 읽고 와 주시기 바랍니다.
-
[학술 회의] 언어와 정치가 컴퓨터에서 만났을 때: 워드임베딩과 정치 텍스트 분석
- 제목: 언어와 정치가 컴퓨터에서 만났을 때: 워드임베딩과 정치 텍스트 분석
- 연사: 송상헌 (고려대학교)
- 일시: 2023.11.17. (금) | 11:00
- 장소: Zoom
- 회의 ID: 852 5002 7548
- 비밀번호: Bq2PhRvznB
-
<평화연구> 제 31권 2호(2023년 가을호) 출간
2023.11.10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 연구소에서 연 2회 발행하는 <평화연구> (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제 31권 2호(2023년 가을호)가 출간되었습니다. 원문은 dbpia 사이트를 통해 제공됩니다. <목차> 능력주의와 청년 유권자의 보수화? ┃ 우인범・장승진 한국의 UN 총회 인권 결의안 표결 분석: 타깃 국가와의 경제적 상호의존을 중심으로 ┃ 박재석・임희수 반대의견의 정치적 동학과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의 유보철회 ┃ 홍미화 일본의 반포경레짐 거부에 따른 국제사회의 비판과 대응 전략: 상업포경정책을 중심으로 ┃ 양재서・김영완 이스라엘-요르단 홍해해양평화공원 사례 분석을 통한 남북 접경협력 시사점 검토 ┃이경희・나용우
-
[평화연구] 2023년 가을호 원고 투고 마감일 연장 안내 (~9월 8일)
2023.09.04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에서 연 2회 발행하는 [평화연구](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2023년 가을호에 게재할 논문의 투고 마감일을 아래와 같이 연장합니다. – 아 래 – 원고 투고 마감일(최종): ~ 9월 8일(금) 오후 6시 기존 마감일(변경 전): ~ 9월 1일(금) 자정 원고는 수시로 접수하고 있습니다. 모든 원고는 [평화연구] 편집위원회가 정하는 <원고작성원칙> 및 <연구윤리규정>을 따라야 하며, 이에 부합하지 않은 원고는 접수되지 않습니다. 원고 작성 원칙과 윤리 규정은 JAMS 홈페이지(https://peacestudies-ku.jams.or.kr) 내 [평화와 민주주의 연구소] > [학회 소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투고를 원하시면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JAMS 홈페이지 로그인 후 신규논문제출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한글과 영문 논문 모두 투고 가능하나, 한글프로그램으로 작성된 한글형식의 파일로 원고를 제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기타 원고 투고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peacestudies1@gmail.com 앞으로도 [평화연구]에 관심 가져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구성과
-
단행본
The United Nations, Indo-Pacific and Korean Peninsula: An Emerging Security Architecture
- 엮은이 : 이신화, Jagannath Panda
- 출판사 :Routledge
- 발행 : 2023년 8월 18일
- ISBN : 9781032460680
The United Nations, Indo-Pacific and Korean Peninsula는 유엔과 유엔체제에 초점을 맞추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등 세계에서 가장 정치적으로 민감하고 지정학과 지정전략적 차원에서 중요한 지역에서의 강대국 정치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본고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글로벌 평화 구조와 관련된 포괄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지구적 차원, 인도-태평양 지역, 그리고 한반도 등 세계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구적 차원에 관한 첫 번째 파트에서는 미국,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이 각각 지니고 있는 경쟁적인 세계관을 분석하며,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과 한반도를 중심으로 글로벌 및 지역 안보에 관한 유엔에서의 논의의 변천 과정을 살펴봅니다. 이와 같은 테마를 잇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관한 두 번째 파트는 역내 국가들이 직면한 양자 혹은 다자 안보 이슈들을 분석하며 이러한 현안들에 대한 유엔에서의 논의를 분석합니다. 구체적으로, 두 번째 파트에 수록된 챕터들은 호주-인도-일본-미국간 쿼드(Quad) 및 G7의 확대 등 역내 새로운 변화들이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며 인도-태평양 지역내의 강대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마지막으로, 한반도에 관한 세 번째 파트는 남북한 관계에 관한 유엔 중심의 논의에 집중하고 이에 따른 글로벌 혹은 지역적 함의를 분석합니다.
Introduction: Can the Declining Relevance of the UN be Reinvigorated? Factoring the Indo-Pacific and Korean Peninsula by Shin-wha Lee and Jagannath Panda
Part-I: The UN and Competing Worldviews
1.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 UN Multilateral Frameworks: Building Order or Inviting Conflict? by Jae Jeok Park and Shin-wha Lee
2. The United Nations in Korea: US Views of Once and Future Roles by Mark Tokola
3. Legitimacy, Power and Order-Building in the Indo-Pacific: China, the UN, and Managing the North Korean Nuclear Challenge by Jindong Yuan
4. Role of the United Nations in Japanese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rchitecture by Kristi Govella
5. The United Nations, Korean Foreign Policy and the Korean Peninsula, by Heung Soon ParkPart-II: The UN and the Indo-Pacific Security Architecture
6. China, UNCLOS and the Future of International Maritime Law in the South China Sea by Jeffrey Becker
7. Opportunities for Consensus, Collaboration and Recalibration: UN and the Quad by Jagannath Panda
8. Does Humanitarian Aid Save Civilian Lives in War? The Case of UN Aid in Myanmar’s Civil War by Hyun Jin Choi and Taekyoon Kim
9. The United Nations and the Curious Case of Sino-Indian Boundary Dispute by Priyanka PanditPart-III: The UN, its Frameworks and Korean Peninsula
10. Northeast Asian Peace Architecture and the UN by Matthew Abbott
11. Change in the Security Environ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by Hanbyeol Sohn and Hanbeom Jeong
12.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SDGs Discussion on the Korean Peninsula: SDGs as a Framework for New Cooperation by Kyungyon Moon and Dong-ju Choi
13. A Case Study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Nonproliferation Regimes: Focus on Chemical Weapons and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s by Ki-Chul Park and Jaewoo Choo
14. Improving State Reputation through the UN: The Case of North Korea by DongJoon Park and Kyung-joo Jeon -
연구논문
What Makes Swing Voters Participate in Protests? The Effects of Voting Patterns and Election Cycles on Participation in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2023.06)
- 저자: 차현진
- 학술지명: Korea Observer
- 발행처: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권호: 54(2)
- 게재년월: 2023년 6월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traits of candlelight protest participants have changed from 2004 to 2017 in South Korea. While previous studies have typically identified these traits of the candlelight protesters based on a single survey,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protest participants using a multi-level analysis. This study argues that voter type and election cyc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n individual’s decision to participate in candlelight protests. To be specific, swing voters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a candlelight protest when the next election is scheduled either too soon or too far. Core liberal voters with a high degree of motivation are more likely to take part in a candlelight protest when the distance from the next election is close, while core conservative voters with a low degree of motivation are not affected by the distance from the next election. This study contributes on both sub-fields, voting behaviors and contentious politics, by combining individuals’ voting patterns with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Survey data (2004, 2010, 2017) conducted by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KPSA) and the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 (KSSDC)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arguments.
-
연구논문
공포의 균형에서 신중함의 균형으로: 북미 간 핵 군비통제의 이론적 고찰 (2023.06)
- 저자 : 김인욱, 백승준
- 학술지명 : 한국정치학회보
- 발행처 : 한국정치학회
- 권호 : 57(2)
- 게재년월 : 2023년 06월
초록: 본 논문은 국제정치학 핵군비통제 이론과 북미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최근 정책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북미핵군비통제의 실효성과 실현 가능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핵군비통제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핵보유국 간 상호억지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구조적 군비통제와 위기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운용적 군비통제로 구분하여 그 작동원리와 기대효과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두 가지 형태의 핵군비통제가 북미관계에 적용가능한지 분석한다. 먼저 구조적 군비통제의 경우, 북미 간 현저한 핵전력의 불균형 때문에 실효성 있는 설계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실현 가능성 또한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운용적 군비통제는 북한과 미국 사이 정보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위기 발생 시 외교적 해결을 가능케 함으로써 핵전력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북미 간 위기 불안정성을 완화하는 데 실효성을 발휘할 것으로 보이며, 구조적 군비통제보다 실현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미국의 학자들과 정책결정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핵군비통제 논의를 국내로 확장하고자 한다.
-
연구논문
The American Success to Denuclearise South Korea: Global Bipolarity, Geographical Remoteness, and Nuclear Alliance Restraint (2023.04)
- 저자 : 백선우, 이동선
- 학술지명 : Diplomacy & Statecraft
- 발행처 : Taylor & Francis
- 권호 : 34(1)
- 게재년월 : 2023년 4월
초록: This article explains the US curtailment of Sou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by attributing this success primarily to the inducements President Ronald Reagan offered. These inducements were reliable because the US as a superpower operating under bipolarity, cared about its reputation as a trustworthy ally and was eager to provide inducements to its interest-sharing client. The inducements exposed Seoul to only a small risk of subordination, given the US’s position as a remote patron. By contrast, the sanctions Reagan’s predecessors threatened to impose were marginally effective, and could only delay Seoul’s nuclear pursuit because geographical remoteness gave them modest cred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