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itics of Trade Adjustment Versus Trade Protection (2021.11)

  • 저자 : Sung Eun Kim & Krzysztof J. Pelc
  • 학술지명 :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 발행처 : Sage Publications
  • 권호 : 54(13)
  • 게재년월 : 2021년 11월
  • 초록 : The United States’ Trade Adjustment Assistance (TAA) program seeks to help workers transition away from jobs lost to import competition. By contrast, trade remedies like antidumping seek to directly reduce the effect of competition at the border. Though they have very different economic effects, we show that trade adjustment and protectionism act as substitutes. Using the first geo-coded measure of US trade protectionist demands, we show that controlling for trade shocks, counties with a history of successful TAA petitions see fewer calls for trade protection. This effect holds when we confine our analysis to the steel industry, a heavy user of antidumping duties. And though they are both means of addressing import exposure, the two policy options have distinct political effects: in particular, successful TAA petitions carry a significant electoral benefit for Democratic candidates. Greater recognition of the substitutability of trade compensation and protectionism would improve governments’ response to import exposure.

원문링크

동아시아 중심도시로서 서울의 도시외교 전략: 브뤼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1.11)

  • 저자 : 김남국, 조대근
  • 학술지명 : 유럽연구
  • 발행처 : 한국유럽학회
  • 권호 : 39(4)
  • 게재년월 : 2021년 11월

초록 : 도시의 국제적 역할에 대한 논의의 증가는 주권국가 중심의 국제질서가 기존의 정당성을 유지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권국가는 그 한계를 분명하게 드러냈고 도시는 국가를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는 정치 단위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 역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를 대비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기존의 모습과는 다른 서울의 정체성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위기 이후 서울시가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축적해온 빠른 성장도시와 분단국가의 평화도시라는 두 가지 정체성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중심도시의 모습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잠재적 경쟁 상대가 될 수 있는 도쿄와 상하이에 비해 서울시가 상대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본다. 나아가서 서울시가 동아시아의 중심도시로 성장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사례로서 변방의 도시로부터 유럽연합의 수도로 자리 잡은 브뤼셀의 경험을 살펴본 후 서울시가 브뤼셀로부터 채택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한다.

Increasing debate on the international role of the city means decreasing validity of international order surrounding the sovereign state. Especially, COVID19 pandemic has disclosed the limit of sovereign state and cities have rise as supplement to or replacement for the sovereign state.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role of Seoul after the COVID19 pandemic can be a hub city of East Asia with accumulated history of the fast growing city as the capital of Korea as well as a solid peace city identity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We compare city of Seoul with Tokyo and Shanghai in terms of relative dominance to be a hub city in East Asia. We also trace the experiences of Brussels which could be a capital of the EU from its marginal past in the geopolitics of Europe. This paper finally suggests a strategy for Seoul to be a hub city of East Asia, which we can take from experiences of Brussels.

 

원문링크

정의로운 전쟁이론의 현대적 계승: 롤즈의 『만민법』을 중심으로 (2021.10)

초록 :

현대 정치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롤즈는 전통적인 정전론(just war theory)을 현대적으로 계승·발전시킨다. 전쟁 논의의 기본 구조- 전쟁 정의(jus ad bellum), 전시 정의(jus in bello), 전후 정의(jus post bellum) – 와, 전쟁을 정당화하는 동시에 제한하려는 ‘이중의 목적’이라는 측면에서 과거의 지적전통은 충실히 계승된다. 하지만 롤즈는 만민 (people)의 대외정책이 시민들의 도덕적 판단 영역에 속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현대적’으로 발전시킨다. 원초적 입장은 정의로운 전쟁에 대한 관점을 사회 정의론의 전체적 구조 속에 위치시키는 방법론적 장치로 이용된다. 그럼으로써, 전쟁에 대한 논의는 정의로운 민주사회의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들 모두에게 요구되는 정치적·도덕적 행위가 된다. 만민의 대외 정책이 자유주의적 정당성의 원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방법과 그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롤즈의 정전론은 커다란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지닌다.

Rawls inherits the basic structure of traditional just war theory – jus ad bellum, jus in bello, jus post bellum – without any hesitation in The Law of Peoples. However, he suggests a brand new methodology that makes foreign policies of each people be subject to moral judgment of citizens within a constitutional democracy. The well-known ‘original position’ methodologically interlink the conception of just war with his social justice theory. In practical terms, ‘the duty of civility’ shows how the discussion of war can be hel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iberal legitimacy. As a result, the debate on the morality of war becomes political and moral acts required of free and equal citizens within a just democratic society.

원문링크

세종의 정치리더십: 적폐해소와 정치공간의 변화 (2021.10)

  • 저자 : 박홍규
  • 학술지명 : 한국정치연구
  • 발행처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권호 : 30(3)
  • 게재년월 : 2021년 10월

초록 : 태종 시대의 정치공간과 세종 시대의 정치공간은 달랐다. 태종의 정치가 폭력과 죽음을 수반한 ‘의(義)의 정치’를 표출했다면, 세종의 정치는 소통과 관용을 통해 모든 존재가 삶(生)을 이루어가는 ‘인(仁)의 정치’를 지향했다. 필자는 세종 9년을 전후하여 조선의 정치공간에 변화가 있었다고 해석한다. 세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조말생 사건과 자신이 주도한 양녕 문제의 처리 과정에서 정치리더십을 발휘하여 태종 시대의 적폐를 처리하고 새로운 정치공간을 열었다. 이 과정에서 세종은 적폐를 단기적인 외과수술식의 ‘청산’ 방식이 아닌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을 통해 ‘해소’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The political space of the Taejong era and that of the Sejong’s were different. While Taejong’s politics often relied on violence and death in the name of ‘the politics of righteousness’, Sejong based his ruling on ‘the politics of humanity’ in which communication and tolerance were highlighted to help all beings fully live their lives. In this paper, I interpret the 9th year of King Sejong to be a watershed that ushed in a new political space for Joseon. Sejong established his own political leadership by demonstrating how his politics of humanity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Jo mal-saeng incident, the Yangnyeong issue, and some corruption scandals borne out of the Taejong era. In so doing, Sejong came to open a new political space where communication and tolerance loom large. Sejong was able to create it thanks to his belief that political reform is achievable through a long- term, gradual process of resolving ‘deep-rooted evils’ rather than a surgical one-off eradication of the evils all at once.

 

원문링크

바이든 행정부 대외정책 특징과 과제 (2021.09)

초록 :

본 논문은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6개월을 분석 대상 기간으로정하여 이 기간 중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대외정책 관련 문건들과 집행된정책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바이든 행정부 대외정책이 외교를 통한 국제사회와 관계 복원, 진보 가치 대외정책 추진, 선별적 개입 정책, 중국 정책의 입체화라는 네 가지 기조 아래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본 논문은 바이든 행정부가 대외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분석하였다. 바이든 행정부는 자신들의 외교정책 목표를달성하기 위해 권위주의 국가들과 이해 충돌의 문제, 가치 외교의 양립불가성 문제, 미국 대외정책의 도덕성 문제, 중국 관계에서 협력과 경쟁의 균형점 설정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principles and problems. This paper analyzed Biden administration’s official documents and speeches made by President Biden and Secretary Blinken regarding foreign policy. This paper claims that 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is built on four major principles; rebuilding relations with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diplomacy, pursuing progressive policy agenda, selective intervention, and China policy layered by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is study identified four policy tasks for Biden administrations to resolve in order to achieve its foreign policy goals. They are manag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authoritarian countries, internal dilemma of pursing progressive policy agenda, dealing with morality of America’s place in the world, and finding equilibrium in its relations with China.

 

원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