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정치리더십: 적폐해소와 정치공간의 변화 (2021.10)
- 저자 : 박홍규
- 학술지명 : 한국정치연구
- 발행처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권호 : 30(3)
- 게재년월 : 2021년 10월
초록 : 태종 시대의 정치공간과 세종 시대의 정치공간은 달랐다. 태종의 정치가 폭력과 죽음을 수반한 ‘의(義)의 정치’를 표출했다면, 세종의 정치는 소통과 관용을 통해 모든 존재가 삶(生)을 이루어가는 ‘인(仁)의 정치’를 지향했다. 필자는 세종 9년을 전후하여 조선의 정치공간에 변화가 있었다고 해석한다. 세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조말생 사건과 자신이 주도한 양녕 문제의 처리 과정에서 정치리더십을 발휘하여 태종 시대의 적폐를 처리하고 새로운 정치공간을 열었다. 이 과정에서 세종은 적폐를 단기적인 외과수술식의 ‘청산’ 방식이 아닌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을 통해 ‘해소’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The political space of the Taejong era and that of the Sejong’s were different. While Taejong’s politics often relied on violence and death in the name of ‘the politics of righteousness’, Sejong based his ruling on ‘the politics of humanity’ in which communication and tolerance were highlighted to help all beings fully live their lives. In this paper, I interpret the 9th year of King Sejong to be a watershed that ushed in a new political space for Joseon. Sejong established his own political leadership by demonstrating how his politics of humanity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Jo mal-saeng incident, the Yangnyeong issue, and some corruption scandals borne out of the Taejong era. In so doing, Sejong came to open a new political space where communication and tolerance loom large. Sejong was able to create it thanks to his belief that political reform is achievable through a long- term, gradual process of resolving ‘deep-rooted evils’ rather than a surgical one-off eradication of the evils all at o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