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대북 및 안보정책 평가의 세대 및 이념요인 (2018.06)
- 저자 : 배진석
- 학술지명 : 한국과 국제정체
- 발행처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 권호 : 34(2)
- 게재년월 : 2018년 6월
-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북정책과 안보정책 영역에서 세대 및 이념요인의 작동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북 및 안보정책에 대한 평가는 연령에 따라 단선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둘째, 대북 및 안보정책에 미치는 이념의 영향력은 세대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셋째, 정책조합에 따라 세대 및 이념이 영향력을 미치는 조건이 달라진다. 2017년 대선 직전에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이 연구는 다음의 사항을 발견했다. 첫째,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1970년대 출생 세대가 그 이전 혹은 이후 세대보다 대북 교류협력정책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고 사드배치에 찬성하는 비율이 낮았다. 둘째, 1970년대생과 그 이전 세대에서는 이념인식이 대북 및 안보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그 이후 청년세대에서는 진보-보수의 이념인식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전통적인 진보-보수의 정책조합에서 연령은 효과가 없고 이념이 영향력을 발휘했지만, 전통적인 진보-보수의 정책조합이 엇갈릴 때에는 이념 대신 연령효과가 확인되었다. 진보-보수라는 이념균열 내에 부분집합으로 쌍을 이루던 교류협력-강경(대북관계), 자주-한미동맹(안보), 복지-성장(경제정책)의 조합이 청년세대-중장년세대라는 세대균열과 중첩, 강화되어 왔다면, 이 연구의 경험적 발견은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한국의 정치균열구조가 세대균열 축을 중심으로 완만한 각도로 교차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원문 보기
칸트, 피히테, 헤겔의 철학이론에서 여성의 의미 비교 연구 (2018.06)
- 저자 : 최치원
- 학술지명 : 21세기정치학회보
- 발행처 : 21세기정치학회
- 권호 : 28(2)
- 게재년월 : 2018년 6월
- 국문 초록 : 칸트, 피히테 그리고 헤겔의 철학적 사유 속에는 보편적인 인간 평등사상과 성 평등사상 사이에서 긴장이 나타나고 있다. 칸트의 철학은 계몽의 완성이라는 맥락에서 인간보편적인 이성의 능력과 가능성을 자신의 이론의 전면에 내세우고 있지만, 여성을 이해하는 방식과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다. 피히테의 철학은 남성에게 지나치게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서 여성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측면들을 상쇄시키고 있다. 헤겔의 철학은 칸트와 피히테를 거쳐서 이어져 내려온, 성 간에 그리고 가족 내에서 여성을 차별적으로 이해하려는 방식뿐만 아니라 여성을 공적세계로부터 분리시켜 이해하려는 논리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부정과 변화를 지향하는 그의 ‘정신’ 개념에는 여성을 위한 자리가 아주 초라하게 마련되어 있을 뿐이다. 이러한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칸트, 피히테, 헤겔 철학의 중심 개념들, 즉 인간의 보편적 권리, 인간의 보편적 원리, 인간의 보편적 자유 및 자립 그리고 자율성, 공적 자유, 자기입법, 인간의 실천, 존엄성, 도덕성 혹은 도덕적 의무, 이성적 존재로서 인간, 상호인정과 승인,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 이성의 공적 사용, 공동입법, 세계시민 등의 의미가 비판적이고도 풍부하게 포착될 수가 없을 것이다.
원문 보기
Detecting Patterns in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s: What Machine-learning Tells Us (2018.05)
- 저자 : Taehee Whang, Michael Lammbrau, Hyung-min Joo
- 학술지명 :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 발행처 : Oxford Academic
- 권호 : 18(2)
- 게재년월 : 2018년 05월
- DOI : https://doi.org/10.1093/irap/lcw016
- 초록 : For the past two decades, North Korea has made a series of military provocations, destabilizing the regional security of East Asia. In particular, Pyongyang has launched several conventional attacks on South Korea. Although these attacks seem unpredictable and random, we attempt in this article to find some patterns in North Korean provocations. To this end, we employ a machine-learning technique to analyze news articles of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 (KCNA) from 1997 to 2013. Based on five key words (‘years,’ ‘signed,’ ‘assembly,’ ‘June,’ and ‘Japanese’), our model identifies North Korean provocations with 82% accuracy.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se attack words and the contexts in which they appear produces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ways in which we can detect North Korean provo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