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홍익인간 건국이상과 한국정치-김대중의 홍익인간 인식과 민주주의・민족주의론을 중심으로 (2019.12)
- 저자 : 김학재, 박홍규
- 학술지명 : 단군학연구
- 발행처 : 단군학회
- 권호: 41(41)
- 게재년월 : 2019년 12월
- DOI : 10.18706/jgds.2019.12.41.61
- 초록 : 본 논문은 홍익인간 건국이상과 그것이 현재의 한국정치에 주는 함의를, 김대중의 홍익인간 인식과 그의 민주주의・민족주의론 검토를 통해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대중에게 ‘홍익인간’은 ‘민본주의의 싹’으로서, 인간의 존엄・자유・정의 실현을 위한 민주주의 원리와 연결되는 개념이었다. 이러한 홍익인간 인식은, ‘이민위천’과 ‘경천애인’의 가치를 중시하고 ‘인간의 행복을 위한 정치’를 지향한 김대중의 정치적 이상과 맥을 같이 한다. 김대중의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관점 역시 홍익인간 이상과의 연속선상에서 바라볼 수 있다. 홍익인간 건국이상은 앞으로도 한국정치에서 계속 추구되어야 할 가치이며, 그 과정에서 정치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촛불시위의 정치학: 미시적 분석, 거시적 주장, 다층적 비교연구 (2019.12)
- 저자 : 정재관
- 학술지명 : 한국과 국제정치
- 발행처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권호 : 35(4)
- 게재년월 : 2019년 12월
- DOI: 10.17331/kwp.2019.35.4.005
- 초록 :본 논문은 2016 촛불시위에 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후속 연구 아젠다를 제안하고자 한다. 2016 촛불시위에 관한 기존 연구는 시위 참여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미시적 연구와 촛불집회의 역사적 배경과 구조적 조건을 규명하고자 한 거시적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미시적 연구는 설문자료를 이용해 촛불시위에 누가, 왜 참여했는지 실증분석하는 성과를 쌓았다. 거시적 연구는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2016 촛불시위가 가진 의미와 이를 가능케 한 정치․경제적 조건을 규명했다. 그러나 단일 분석수준에 입각한 연구는 촛불시위가 던진 중요한 질문들에 대해 논리적으로 충분히 설득력 있는 해답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실증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하는 주장을 하는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두 가지 방향의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하나는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을 모두 포괄하는 다층적 연구이다. 또 하나는 2016 촛불시위를 관련된 학문 분야의 이론에 접목해 다른 사례들과 비교연구하는 것이다. 즉, 본 논문은 2016 촛불시위가 던진 다층적 비교연구 주제들을 규명해 후속 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제언이다.
Intra-Regional Balance of Power and Economic Integration (2019.12)
- 저자 : Sangsoo Lim and Iordanka Alexandrova
- 학술지명 : JIAS
- 발행처 :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 권호 : 26(2)
- 게재년월 : 2019년 12월
- 국문 초록 : What made possible the voluntary formation of the European Community? The answer to this question lies in the distribution of capabilities in Europe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Centralized integration took place because three conditions occurred at the same time. First, the emergence of the Soviet Union as an overwhelming symmetrical common threat to France, West Germany, Italy, and the Benelux gave them incentive to cooperate. Second, the aggregate power of the threatened states was sufficient to counter the threat. Third, no single state within the balancing coalition was more powerful than all the others taken together. This allowed them to surrender decision-making authority over important economic sectors to supranational institutions without concern that these would be dominated by a single state.
The Thailand-US Alliance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Security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019.11)
- 저자 : Iordanka Alexandrova
- 학술지명 : 동남아시아연구
- 발행처 : 한국동남아학회
- 권호 : 29(4)
- 게재년월 : 2019년 6월
- 국문 초록 : This article explains Thailand’s reduced commitment to the security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US) in the aftermath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98. It argues that the economic pressure Washington applied against Bangkok was the primary cause of the change in Thailand’s policy. In the aftermath of the crisis, the US pushed for economic restructuring in Thailand, which hurt the interests of elite groups in the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and the labor they employed. Fearing future losses, these social actors demanded that the leadership defend their interests against further foreign interference in the domestic economy. Thailand’s bargaining power vis-à-vis the US, however, remained relatively weak due to its excessive reliance for security on the great power ally. To regain policy autonomy, the governments of Chuan Leekpai and Thaksin Shinawatra attempted to minimize security dependency by reducing alliance commitment and investing in alternative strategies to improve Thailand’s own defensive capabilities.